본문 바로가기
정보

에어컨 냄새 관리 청소 방법 및 원인

by 넵몬 2023. 6. 6.
반응형

 날씨가 많이 더워지면서 운전 및 집에 쉴 때에 에어컨을 틀기 시작하고 있는데요. 저는 더욱 열이 많아 에어컨을 더욱 가동을 많이 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이 처럼 우리 생활에 필수품인 에어컨 관리는 어떻게 하고 계신가요? 잘못 관리하면 시원한 바람보다 불쾌한 냄새로 머리가 아픈데요. 오늘은 여러분 들의 건강한 여름을 위해 에어컨 관리에 대해 자세히 알려 드리겠습니다.

 

에어컨 이란?

에어컨(air conditioner)은 실내의 더운 공기를 빨아들여 냉각시킨 후 차가운 공기로 전환시키는 가전제품을 말합니다.

 에어컨은 차량이나 가정에서 더운 공기의 온도 습도를 조절하고 쾌점함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에어컨 냄새

 에어컨을 사용하시다 보면 냄새가 발생하는데 그 냄새에 따라 증상이 일부 확인이 가능합니다.

 

  • 습한 냄새
  • 비릿한 쇠 냄새
  • 식초 냄새(쉰내)

 

 '자동건조' 기능을 사용 시 에어컨 내부가 습한 게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기 때문에 냄새가 나며, 이런 경우 에어컨을 가동 시 금방 사라지게 됩니다.

 자동건조 시 에어컨 내부의 물기(응축수)가 증발되면서 실내로 유입되면서 냄새가 나게 됩니다. 송풍을 틀거나 냉방 온도를 25도 이상 설정 시에도 동일한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엔 에어컨 특유의 냄새이므로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에어컨냄새-두통
에어컨 냄새

 

 

그럼 어떤 냄새가 날 때 관리를 해주어야 될까요?

 

  • 곰팡이 냄새
  • 걸레 묵혀둔 냄새
  • 암모니아 냄새
  • 발 냄새

 

에어컨 곰팡이-에어컨 세균
에어컨 곰팡이

 

 

 4가지 중 한 가지의 냄새라도 난다면 열 교환기와 에어컨 내부가 곰팡이로 오염되어 있을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특히, 비가 오거나 날씨가 습한 날 냄새가 심하며 에어컨 냉방 가동 후 건조가 미흡할 시 발생할 수 있는 증상입니다.

 

 

에어컨 관리 방법

  • 에어컨의 '제습모드'는 '온도' 기준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정말 많이 습한 날엔 습도 조절 목적으로 '에어컨 제습모드'를 사용하는 건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물기(응축수)가 많이 잔류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자동건조' 기능이 있는 모델은 반드시 '자동건조' 기능을 활성화시켜야 합니다. 자동 건조 기능은 최소한 에어컨에 남아 있는 물기(응축수)를 제거할 수 있는 역할을 합니다. 만약, 에어컨 자동건조 기능이 없다면 10~20분 간은 '송풍모드'를 강하게 틀어 에어컨 내부를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해주셔야 합니다.

 

  • 향이 강한 음식 및 고기류 음식을 조리하실 때는 되도록 에어컨을 꺼주시기 바랍니다. 실내의 더운 공기 및 냄새가 에어컨 내부로 유입되어 필터 및 내부에 축적되어 가동 시 더욱 불쾌한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 에어컨 제습모드를 이용 시 작동 직후 5분 정도는 문을 열어 환기를 시켜 줍니다. 에어컨 작동 직후 약 5분 동안은 에어컨 내부의 먼지와 곰팡이 포자가 가장 많이 나올 수 있는 시간입니다. 이때, 충분히 환기를 하여 에어컨에서 나오는 먼지와 곰팡이를 없애 주셔야 합니다.

 

에어컨 관리-에어컨 냄새-에어컨 청소
에어컨 관리

 

 

 에어컨 관리는 항상 '건조'가 중요합니다.

'건조'만 잘해주셔도 냄새 및 곰팡이 관리하기 쉬운데요. 만약, 이렇게 관리를 함에도 냄새가 잡히지 않는다면 이미 에어컨 냉각핀 및 팬에 곰팡이가 증식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에어컨 모델 및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2~3년에 1회씩은 내부를 해체해서 청소를 해주는 게 좋다고 합니다.

직접 해체하여 청소를 할 수 있지만, 잘못하게 되면 에어컨 고장 및 남아 있는 세제들로 인해 호흡기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되도록 업체를 통해 세척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에어컨 관리-에어컨 청소
에어컨 관리

 

 오늘은 이렇게 에어컨 관리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에어컨 관리 건강하게 잘하시어 시원한 여름 보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